2025년 중위소득표 기준으로 보는 장애인연금 소득 요건

장애인연금은 단순히 장애인등록증만 있다고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아닙니다. 연금 수급을 위해서는 여러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소득요건은 핵심 판단 기준입니다.

특히, 정부는 매년 기준중위소득을 고시하고 있으며, 이 수치를 기준으로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비교해 수급 자격을 결정합니다. 하지만 정확한 기준을 이해하지 못해 신청을 망설이는 분들이 아직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와 함께, 장애인연금의 소득요건을 쉽게 확인하실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신청을 앞두고 있다면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은 우리나라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소득값입니다. 다양한 복지제도의 기준점으로 사용되며, 장애인연금 외에도 생계급여, 의료급여, 청년 월세 지원, 보육료 지원 등에서 적용됩니다.

특히 장애인연금은 단독가구는 중위소득의 70% 이하, 부부가구는 90% 이하가 수급 기준이 되므로,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본인의 소득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월 기준)

아래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5년 기준중위소득과, 이를 기준으로 산출한 70% 및 90% 수치를 정리한 표입니다.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100%) 70% 기준 90% 기준
1인 2,392,013원 1,674,409원 2,152,812원
2인 3,932,658원 2,752,861원 3,539,392원
3인 5,025,353원 3,517,747원 4,522,818원
4인 6,097,773원 4,268,441원 5,487,996원

소득이 해당 기준을 초과할 경우 연금 수급이 불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본인의 가구 구성과 비교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소득인정액이란?

단순한 ‘월급’만이 아니라, 가구의 재산, 금융자산, 공적 이전소득 등 다양한 항목을 합산해 계산한 수치입니다.

소득 항목 내용
근로·사업소득 급여, 자영업, 프리랜서 수익 등
재산환산소득 전세보증금, 예금, 부동산, 차량 등 자산
공적이전소득 기초연금, 국민연금, 실업급여 등

가구 단위로 소득을 산정하기 때문에, 본인의 소득이 없어도 배우자나 자녀의 자산이 많을 경우 수급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특히 차량, 고액 예금, 부동산은 놓치기 쉬운 항목이므로 사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런 분들은 다시 확인해보세요

  • 과거 소득 초과로 수급 불가 판정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 가족 소득이나 재산 상황이 최근 변경된 경우
  • 중위소득표를 제대로 확인해본 적 없는 경우
  • 지자체 지원과 장애인연금 중복 가능성을 알고 싶은 경우

기준중위소득은 해마다 변경되며, 2025년 기준으로 다시 신청하면 수급이 가능한 경우도 많습니다. 단순히 과거의 결과만 보고 포기하지 마시고, 새로운 기준으로 판단해보시길 권합니다.

 

📋 장애인연금 수급을 위한 다른 조건도 함께 확인하세요

조건 항목 내용
연령 만 18세 이상
장애 정도 ‘심한 장애’로 분류된 중증 장애인
기타 요건 국민연금과 중복 수급 여부 확인 필요

위 조건들과 함께 소득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기초급여 + 부가급여를 포함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전체 자격 요건과 신청 방법을 한눈에 보고 싶다면?

장애인연금은 신청하지 않으면 지급되지 않습니다. 자격 조건, 신청 절차, 연금 금액 등 전체 정보는 아래 글에서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전